수강신청
수강신청
과목명 | 가족관계론 | |||||||||||||
---|---|---|---|---|---|---|---|---|---|---|---|---|---|---|
교육과정 | 가족관계론 | 학점 | 3학점 | |||||||||||
전공구분 | 교양, 학점은행제 | 샘플강의 | ||||||||||||
교수명 |
어성연
강의교수소개
|
정원 | 120명 | |||||||||||
수강신청기간 | 2025-03-17 ~ 2025-05-12 | 교육기간 | 2025-05-13 ~ 2025-08-26 | |||||||||||
수강료 | 210,000원 | 할인적용 | - | |||||||||||
관련전공영역 | 학사 | 교양, 학점은행 | ||||||||||||
전문학사 | 교양 |
수업개요 |
가족의 개념 및 특성을 이해하고, 가족의 건강성 증진을 위한 지식과 능력을 기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가족의 형성과 가족관계, 다양한 가족유형, 가족문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 학점인정신청 : 2025년 4분기(10월)부터 가능 ※ 학위취득시기 : 요건 충족 시 2026년 전기(2월) 학위취득 가능(학위신청: 2025년 12월 중순)
전기(2월) 학위신청자가 수강한 마지막 학기 이수과목은 1월 15일 이전까지, 후기(8월)는 7월 15일 이전까지 성적보고 및 학점인정신청이 완료되어야 학점인정 등 학위수여조건 심사 절차를 거쳐 학위취득가능. |
||
---|---|---|---|
수업목표 | 가족관계론은 인간 생활의 기본 단위인 가족 내 인간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는 데 그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가족 연구의 주요 이론 및 가족관계의 특성을 고찰하며 가족의 형성에서 노년기의 가족관계에 이르기까지 가족의 발달단계에 따라 변화하는 가족원들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성, 세대, 지위, 가족유형과 같은 미시적 맥락뿐만 아니라 시대적 가치, 역사, 문화, 제도와 같은 거시적 맥락에서 전반적이고 기초적인 지식을 학습한다. 다양한 가족에 대한 이해와 가족 안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생태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개인적 그리고 사회적 대응방안을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가족관계 형성 방향을 모색하고 자기 삶에 적용할 수 있다. 1) 시대와 사회에 따른 여러 가지 유형의 가족을 이해하고 가족 연구의 주요이론과 가족관계의 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사랑과 성, 배우자 선택이론을 학습하여 바람직한 가족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3) 원만한 부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들을 파악하고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다. 4) 중년기, 노년기 가족관계의 변화를 학습하여 대처 방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성적배점기준 | 출석율 | 시험 | 과제 | 수업기여도 | 합계 | ||
---|---|---|---|---|---|---|---|
중간고사 | 기말고사 | 토론 | 생각해보기 | ||||
15 | 30 | 30 | 15 | 5 | 5 | 100 |
이수기준 : D등급(환산점수 60점) 및 출석률 80% 이상
상대평가 등급 (환산점수) 비율 |
A+ ~ A0 (90점이상) |
B+ ~ B0 (80점 이상 ~ 90점 미만) |
C+ ~ C0 (70점 이상 ~ 80점 미만) |
D+ ~ D0 (60점 이상 ~ 70점 미만) |
F(과락) (60점 미만) |
합계 |
---|---|---|---|---|---|---|
0 ~ 30% 이내 | 0 ~ 70%(A등급 포함 | (100 - B등급까지의 누적 비율)% | 100% |
평가일정
시험 | 중간고사 | 2025-07-05 (토) ~ 2025-07-08 (화) |
---|---|---|
기말고사 | 2025-08-23 (토) ~ 2025-08-26 (화) | |
토론 | 토론 | 2025-06-10 (화) ~ 2025-07-28 (월) |
과제 | 과제 | 2025-06-10 (화) ~ 2025-07-28 (월) |
생각해보기 | - |
위 내용 및 일정은 본원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차 | 차시 | 학습내용 | 평가활동 |
---|---|---|---|
1주 | 1차시 |
가족에 관한 학문 가족학 |
|
2차시 |
가족의 유형 |
||
3차시 |
왜 사람은 가족 안에서 사는가? |
||
2주 | 1차시 |
한국전통사회의 가족관계 1 |
|
2차시 |
한국전통사회의 가족관계 2 |
||
3차시 |
한국전통사회의 가족관계 3 |
||
3주 | 1차시 |
사랑과 성: 사랑에 대한 사회심리적 이해 |
|
2차시 |
사랑과 성: 성차와 성역할에 대한 이해 |
||
3차시 |
사랑과 성: 성문화, 성태도의 변화에 대한 이해 |
||
4주 | 1차시 |
배우자 선택 1 |
|
2차시 |
배우자 선택 2 |
||
3차시 |
배우자 선택 3 |
||
5주 | 1차시 |
다양한 가족이론에 대한 이해 1 |
과제, 토론 |
2차시 |
다양한 가족이론에 대한 이해 2 |
||
3차시 |
동거와 사실혼: 동거와 사실혼에 대한 이해 |
||
6주 | 1차시 |
결혼의향과 동기에 대한 이해 |
|
2차시 |
결혼결정과 결혼시기에 대한 이해 |
||
3차시 |
결혼 적응과 부적응 |
||
7주 | 1차시 |
결혼 적응 |
|
2차시 |
부부권력 1 |
||
3차시 |
부부권력 2 |
||
8주 | 1차시 |
중간고사 |
시험 |
9주 | 1차시 |
부부 의사소통 1: 남녀 언어의 차이, 뇌 구조의 차이에 대한 이해 |
|
2차시 |
부부 의사소통 2: 부부 의사소통의 요소에 대한 이해 |
||
3차시 |
부부 의사소통 3: 효율적인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 |
||
10주 | 1차시 |
부부 갈등 1: 부부갈등의 유발요인과 영역에 대한 이해 |
|
2차시 |
부부 갈등 2: 기능적 갈등해결 |
||
3차시 |
부부 갈등 3: 가족 폭력 |
||
11주 | 1차시 |
자녀 양육기 부부적응 1 |
|
2차시 |
자녀 양육기 부부적응 2 |
||
3차시 |
자녀 양육기 부부적응 3 |
||
12주 | 1차시 |
자녀 양육기 부부적응 4 |
|
2차시 |
맞벌이 부모 |
||
3차시 |
한부모 가족 |
||
13주 | 1차시 |
중년기 부부관계 |
|
2차시 |
노년기 가족관계 1 |
||
3차시 |
노년기 가족관계 2 |
||
14주 | 1차시 |
노년기 가족관계 3 |
|
2차시 |
다문화 가족관계 1 |
||
3차시 |
다문화 가족관계 2 |
||
15주 | 1차시 |
기말고사 |
시험 |
위 내용 및 일정은 본원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