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신청
수강신청
과목명 | 아동발달 | |||||||||||||
---|---|---|---|---|---|---|---|---|---|---|---|---|---|---|
교육과정 | 아동발달 | 학점 | 3학점 | |||||||||||
전공구분 | 교양, 심리학, 학점은행제 | 샘플강의 | ||||||||||||
교수명 |
김수연
강의교수소개
|
정원 | 120명 | |||||||||||
수강신청기간 | 2025-03-17 ~ 2025-05-12 | 교육기간 | 2025-05-13 ~ 2025-08-26 | |||||||||||
수강료 | 210,000원 | 할인적용 | - | |||||||||||
관련전공영역 | 학사 | 교양, 심리학, 학점은행 | ||||||||||||
전문학사 |
수업개요 | 태아기에서 아동기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신체적 발달과 성격발달, 사회성 및 도덕성발달, 인지발달, 정서발달 등 인간의 제 측면적 발달을 이론적 실제적으로 탐구한다. 이를 위해 영유아 및 아동에 대한 발달이론과 신체운동발달, 지적발달, 정서발달, 사회성 발달을 배워 이 시기 아동을 올바로 이해하고 관심을 갖는다. 이와 관련된 아동 지도의 전문적 역할도 배운다. 따라서 아동발달에 대한 이해와 제 문제를 탐구함으로써 정상적인 발달과 비정상적인 발달을 이해하고, 아동을 전문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다.
※ 학점인정신청 : 2025년 4분기(10월)부터 가능 ※ 학위취득시기 : 요건 충족 시 2026년 전기(2월) 학위취득 가능(학위신청: 2025년 12월 중순)
전기(2월) 학위신청자가 수강한 마지막 학기 이수과목은 1월 15일 이전까지, 후기(8월)는 7월 15일 이전까지 성적보고 및 학점인정신청이 완료되어야 학점인정 등 학위수여조건 심사 절차를 거쳐 학위취득가능. |
||
---|---|---|---|
수업목표 | 첫째, 발달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여러 심리학 분파들이 주장한 아동발달 이론을 비교하여 설명 할 수 있다. 둘째, 아동발달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이론적 시각을 탐구함으로써 정상적인 발달과 비정상적인 발달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 셋째, 아동발달 단계에 따른 세부적 내용을 탐색하고 파악함으로써 아동을 전문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다. 넷째, 급변하는 사회 속의 아동의 위치와 역할에 대한 소양을 갖춤으로서 미래사회에 적합한 아동 전문가로 나아 갈 수 있다.
다섯째, 인지, 언어, 정서, 도덕성, 자기 개념 및 관계에서의 발달에 대해서 주요 학자들의 이론을 이해하고 비판적 사고를 할 수 있다. |
성적배점기준 | 출석율 | 시험 | 과제 | 수업기여도 | 합계 | ||
---|---|---|---|---|---|---|---|
중간고사 | 기말고사 | 토론 | 생각해보기 | ||||
15 | 30 | 30 | 15 | 5 | 5 | 100 |
이수기준 : D등급(환산점수 60점) 및 출석률 80% 이상
상대평가 등급 (환산점수) 비율 |
A+ ~ A0 (90점이상) |
B+ ~ B0 (80점 이상 ~ 90점 미만) |
C+ ~ C0 (70점 이상 ~ 80점 미만) |
D+ ~ D0 (60점 이상 ~ 70점 미만) |
F(과락) (60점 미만) |
합계 |
---|---|---|---|---|---|---|
0 ~ 30% 이내 | 0 ~ 70%(A등급 포함 | (100 - B등급까지의 누적 비율)% | 100% |
평가일정
시험 | 중간고사 | 2025-07-05 (토) ~ 2025-07-08 (화) |
---|---|---|
기말고사 | 2025-08-23 (토) ~ 2025-08-26 (화) | |
토론 | 토론 | 2025-06-10 (화) ~ 2025-07-28 (월) |
과제 | 과제 | 2025-06-10 (화) ~ 2025-07-28 (월) |
생각해보기 | - |
위 내용 및 일정은 본원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차 | 차시 | 학습내용 | 평가활동 |
---|---|---|---|
1주 | 1차시 |
아동발달의 기초 |
|
2차시 |
아동발달의 단계 |
||
3차시 |
아동발달연구의 접근방법 |
||
2주 | 1차시 |
정신분석이론의 개요와 Freud의 성격구조 |
|
2차시 |
Freud의 심리성적 발달단계 |
||
3차시 |
Erikson 심리사회이론 |
||
3주 | 1차시 |
학습이론 |
|
2차시 |
고전적 조건형성이론과 조작적 조건형성이론 |
||
3차시 |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
||
4주 | 1차시 |
인지발달이론의 개요 |
|
2차시 |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
||
3차시 |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 |
||
5주 | 1차시 |
Lorenz의 각인이론 |
과제, 토론 |
2차시 |
Bowlby의 애착이론 |
||
3차시 |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이론 |
||
6주 | 1차시 |
태내발달 |
|
2차시 |
태내 발달과 유전1 |
||
3차시 |
태내 발달과 유전2 |
||
7주 | 1차시 |
태내 환경의 영향1 |
|
2차시 |
태내 환경의 영향2 |
||
3차시 |
출산 |
||
8주 | 1차시 |
중간고사 |
시험 |
9주 | 1차시 |
신생아의 상태 |
|
2차시 |
신생아의 생리적 기능 |
||
3차시 |
신생아의 감각기능과 반사기능 |
||
10주 | 1차시 |
영아기 신체 및 운동발달 |
|
2차시 |
영아기의 인지 및 언어발달 |
||
3차시 |
영아기의 사회 및 정서발달 |
||
11주 | 1차시 |
유아기 신체발달 |
|
2차시 |
유아기 운동발달 |
||
3차시 |
유아기 인지발달 |
||
12주 | 1차시 |
유아기 언어발달 |
|
2차시 |
유아기 정서발달 1 |
||
3차시 |
유아기 정서발달 2 |
||
13주 | 1차시 |
유아기 사회성 발달 |
|
2차시 |
유아기 성역할과 도덕성 발달 |
||
3차시 |
아동기 신체 및 운동발달 |
||
14주 | 1차시 |
아동기 인지발달 |
|
2차시 |
아동기 정서발달 |
||
3차시 |
아동기 사회성 발달 |
||
15주 | 1차시 |
기말고사 |
시험 |
위 내용 및 일정은 본원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