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신청
수강신청
과목명 | 경제학개론 | |||||||||||||
---|---|---|---|---|---|---|---|---|---|---|---|---|---|---|
교육과정 | 경제학개론 | 학점 | 3학점 | |||||||||||
전공구분 | 교양, 경영학, 학점은행제 | 샘플강의 | ||||||||||||
교수명 |
여미영
강의교수소개
|
정원 | 80명 | |||||||||||
수강신청기간 | 2025-03-17 ~ 2025-05-12 | 교육기간 | 2025-05-13 ~ 2025-08-26 | |||||||||||
수강료 | 210,000원 | 할인적용 | - | |||||||||||
관련전공영역 | 학사 | 교양, 경영학, 학점은행 | ||||||||||||
전문학사 | 경영학 |
수업개요 |
경제학개론은 시장경제에서 가격이 결정되고 자원이 배분되며 소득이 분배되는 과정과 원리를 다루며, 가계의 합리적인 소비행위와 기업의 합리적인 생산 활동이 시장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효율적인 자원배분을 낳는가, 시장형태와 정부정책이 자원배분을 어떻게 변형시키는가, 자유시장 기구의 작동원리와 한계, 정부 규제의 효과와 문제점은 무엇인가 등 경제학의 기본이론을 확고하게 이해시켜주는 과목이다. 이에 따라 소비자의 경제활동 원리와 생산자의 생산 활동 원리를 규명하고, 완전경쟁시장, 독립시장, 불완전 경쟁시장 등 여러 시장 형태에 따른 가격결정 원리를 해명해본다.
※ 학점인정신청 : 2025년 4분기(10월)부터 가능 ※ 학위취득시기 : 요건 충족 시 2026년 전기(2월) 학위취득 가능(학위신청: 2025년 12월중순)
전기(2월) 학위신청자가 수강한 마지막 학기 이수과목은 1월 15일 이전까지, 후기(8월)는 7월 15일 이전까지 성적보고 및 학점인정신청이 완료되어야 학점인정 등 학위수여조건 심사 절차를 거쳐 학위취득가능. |
||
---|---|---|---|
수업목표 | 경제학개론에서는 가계, 기업, 정부의 세 경제주체로 구성되는 시장경제에서 각 주체가 어떠한 효율적 의사결정을 하는지에 관한 이론을 습득하고자 한다. 1. 시장경제에서 가격결정과 자원배분, 소득분배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2. 가계의 합리적인 소비행위와 기업의 합리적인 생산활동이 시장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효율적인 자원배분을 하는가를 설명할 수 있다. 3. 시장형태와 정부정책이 자원배분을 어떻게 변형시키는가를 설명할 수 있다. 4. 자유시장 기구의 작동원리와 한계를 설명할 수 있다.
5. 정부 규제의 효과와 문제점은 무엇인가 설명할 수 있다. |
성적배점기준 | 출석율 | 시험 | 과제 | 수업기여도 | 합계 | ||
---|---|---|---|---|---|---|---|
중간고사 | 기말고사 | 토론 | 생각해보기 | ||||
15 | 30 | 30 | 15 | 5 | 5 | 100 |
이수기준 : D등급(환산점수 60점) 및 출석률 80% 이상
상대평가 등급 (환산점수) 비율 |
A+ ~ A0 (90점이상) |
B+ ~ B0 (80점 이상 ~ 90점 미만) |
C+ ~ C0 (70점 이상 ~ 80점 미만) |
D+ ~ D0 (60점 이상 ~ 70점 미만) |
F(과락) (60점 미만) |
합계 |
---|---|---|---|---|---|---|
0 ~ 30% 이내 | 0 ~ 70%(A등급 포함 | (100 - B등급까지의 누적 비율)% | 100% |
평가일정
시험 | 중간고사 | 2025-07-05 (토) ~ 2025-07-08 (화) |
---|---|---|
기말고사 | 2025-08-23 (토) ~ 2025-08-26 (화) | |
토론 | 토론 | 2025-06-10 (화) ~ 2025-07-28 (월) |
과제 | 과제 | 2025-06-10 (화) ~ 2025-07-28 (월) |
생각해보기 | - |
위 내용 및 일정은 본원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차 | 차시 | 학습내용 | 평가활동 |
---|---|---|---|
1주 | 1차시 |
경제란 무엇인가 |
|
2차시 |
경제학은 선택에 관한 학문 |
||
3차시 |
세 가지 경제적 질문들과 경제학의 종류 |
||
2주 | 1차시 |
비교경제체제 |
|
2차시 |
시장경제의 특징 |
||
3차시 |
계획경제의 몰락이유와 시장경제의 발전 |
||
3주 | 1차시 |
수요의 법칙 |
|
2차시 |
공급의 법칙 |
||
3차시 |
시장균형 |
||
4주 | 1차시 |
수요의 가격탄력성 |
|
2차시 |
공급의 가격탄력성 |
||
3차시 |
가격규제(통제): 정부정책의 효과 |
||
5주 | 1차시 |
기업이란? |
과제, 토론 |
2차시 |
생산과 단기의 비용 |
||
3차시 |
생산과 장기의 비용 |
||
6주 | 1차시 |
완전경쟁시장 |
|
2차시 |
독점시장 |
||
3차시 |
독점적 경쟁시장과 과점시장 |
||
7주 | 1차시 |
생산요소와 보수 |
|
2차시 |
노동시장의 원리 |
||
3차시 |
소득불평등 측정 |
||
8주 | 1차시 |
중간고사 |
시험 |
9주 | 1차시 |
시장실패 |
|
2차시 |
정부의 역할 |
||
3차시 |
제도 |
||
10주 | 1차시 |
전반적인 경제활동 측정 |
|
2차시 |
물가지수 |
||
3차시 |
총수요와 총공급 |
||
11주 | 1차시 |
인플레이션 |
|
2차시 |
실업 |
||
3차시 |
실업과 인플레이션의 관계 |
||
12주 | 1차시 |
재정 |
|
2차시 |
화폐와 금융 |
||
3차시 |
화폐의 수요와 공급 |
||
13주 | 1차시 |
뉴노멀시대’와 금융 |
|
2차시 |
글로벌경제 |
||
3차시 |
글로벌경제의 관리 |
||
14주 | 1차시 |
자유무역이론 |
|
2차시 |
현실의 국제무역 |
||
3차시 |
국제수지 및 외환시장 |
||
15주 | 1차시 |
기말고사 |
시험 |
위 내용 및 일정은 본원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