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변수가 수치적 자료가 아닌 질적 변수인 경우의 회귀모형
모집단의 특성에 대한 통계적 가설을 모집단으로부터 추출한 표본을 사용하여 검토하는 통계적 추론
보안이 요구되는 인트라넷이나 익스트라넷에 접속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IP 패킷을 캡슐화하여 전송하는 네트워크
N개의 수치의 평균값을 구할 때 중요도나 영향도에 해당하는 각각의 가중치를 곱하여 구한 평균값
회귀식이 자료간의 관계를 얼마나 잘 설명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척도
두 개 이상의 확률변수에 의하여 결합된 확률분포
변량을 나눈 구간
사건 A,B가 있고, 사건 A가 일어날 경우의 수가 m 가지이고, 그 각 경우에 사건 B가 일어날 경우의 수가 n가지일 때, 두 사건 A,B가 잇달아 일어나는 경우의 수는 mn 가지가 된다는 법칙
결합 확률 분포를 이루는 두 확률변수가 변화하는 양상을 측정하는 척도를 말하며, 보통 COV(X,Y)로 표시함
이론적 지식의 탐구나 실천적 생활의 과정(도덕 또는 작업 등)에서 기본적인 전제로 요청되는 명제
통계량에 의해서 모수의 존재범위를 어떤 폭을 갖고 추정하고자 하는 방법
두 인자 중 한 인자의 수준별 차이가 다른 인자의 수준에 영향을 받아 의존적으로 나타나는 것
통계량에 의해서 모수의 존재범위를 어떤 폭을 갖고 추정하고자 하는 방법
설정한 가설이 진실할 확률이 극히 적어 처음부터 버릴 것이 예상되는 가설
아주 비슷함
가설검정에서 설정된 가설이 유의수준에 따라 검정통계량의 표집분포 상에서 귀무설이 기각되는 α 부분의 영역
평균값의 하나. 표본으로부터 구한 통계량이 평균하여 어떠한 값으로 기대되는가를 통계량의 기대치라고 함
통계적자료의 기술에 관한 학문
0에서 9까지의 숫자를 각 숫자가 나오는 비율이 같도록 무질서하게 배열한 표. 통계 조사에서 표본을 무작위로 가려낼 때, 또는 암호를 작성하거나 해독할 때 씀
분할한 변량과 그 분할점 이하(또는 이상)의 도수를 합계한 누적도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
어떤 확률 분포에 대해서, 확률 변수가 특정 값보다 작거나 같은 확률을 나타냄
독립변수가 2개 이상일 때의 회귀모형
하나의 최빈값을 갖는 분포
다중회귀분석은 하나의 종속변수와 둘 이상의 독립변수간의 관계를 분석
모집단의 각각의 요소 또는 사례들이 표본으로 선택될 가능성이 같게 되는 표본
단순회귀분석은 하나의 종속변수와 하나의 독립변수간의 관계를 분석
가설 검정에서 평균의 한쪽 끝값, 즉 표본 분포의 한쪽에 관심을 가지고 시행하는 검정 방법
귀무가설이 기각될 때 받아들여지는 가설
통계자료의 기술방법으로 변량을 적당한 폭으로 나눈 계급으로 계열화한 것
단순한 분류를 위해서 측정대상의 속성에 수치를 부여하는 것을 말함
모집단의 특성을 나타내는 수치를 말함
통계적인 관찰의 대상이 되는 집단 전체
주어진 모집단의 특성을 나타내는 모수의 하나로 모집단 분포의 산포도를 나타내는 척도
분포에 있는 사례들에 대하여 제시된 백분율이 그 이하에 놓이게 되는 점수
성공(S)과 실패(F)로 일컬어지는 두 가지의 결과 중 하나를 얻는 시행. 여기서 각 시행에 대한 성공의 확률은 동일하며, 그 시행들은 각각 독립임을 가정
확률변수의 조건부(conditional) 확률분포와 주변부(marginal) 확률분포를 연관 짓는 확률이론을 말함
표준편차를 평균값으로 나눈 것
몇 개의 점에 주어진 함수값을 기초로 그 점들 사이의 함수값을 구하는 근사 계산법
추출하였던 것을 제자리에 되돌려 놓고 다음 것을 추출하는 방법
통계에서 변량이 평균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
종속변수와 독립변수(하나 또는 둘 이상)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유용한 통계기법
자료를 두 개의 속성(범주)에 따라 분류시켜 표로 만들어 놓은 것
편의가 없는 추정량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각 계층의 항목수에 비례하여 표본을 할당하는 것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관계가 선형이 아니고 비선형인 경우의 회귀모형
한 주어진 속성에 대한 측정결과인 측정치 또는 점수에서 어떤 동일한 점수에 대한 사례
사회과학의 자료분석을 위해서 만들어진 표준 통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확률실험의 실시로 얻는 하나 또는 많은 결과들의 집합
추정하고자 하는 확률변수에 대한 관측이나 증거와 별개로 이미 알려져 있는 상태를 반영하는 주변확률을 말함
인간 사회의 여러 현상을 과학적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모든 경험과학
확률변수에 대한 관측이나 증거에 대한 조건부로 획득되는 확률
수리통계학의 평균 계산법으로, n개의 변수의 산술평균은 변수들의 총합을 변수의 개수 n으로 나눈 값
두 변량 X, Y 사이의 상관관계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각 변량의 도수의 총도수에 대한 비율
일직선으로 나타나는 함수. 등식 Y = a+bX(a는 Y절편, b는 직선의 기울기)에 의해 나타나는 직선 함수
전 조사대상을 모두 조사하는 통계조사
주사위를 던질 때와 같이 반복할 수 있는 확률실험이나 관측을 시도하는 것
통계적 추정에서 모집단 내의 참모수를 추정하는 경우에 어떤 구간 안에 참모수 값이 존재할 확률
모집단에서 추출한 표본을 기초로 하나의 수 θ를 추정하려고 할 때, 정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신뢰도의 구간
최빈수를 두 개 가지는 분포
경험자료에서 구한 χ2통계치가 영가설(또는 귀무가설)이 참일 때의 x2값의 이론적 분포(카이자승분포라고 함)에서 관찰될 수 있는 확률(P-Value)에 근거하여 실시하는 검정
기각역을 양측으로 설정하는 검정방식
확률변수가 연속적(continuous)일 때의 확률변수.
가설 검증을 할 때, 표본에서 얻은 표본통계량이 일정한 기각역에 들어갈 확률, 즉 오차가능성을 말함
"모집단을 정의한 경우, 그 성원이 유한개인 경우를 말하며 그 성원의 개수를 N으로 표시함"
모집단이 매우 크지 않은 경우에 표준오차를 적절히 조절하는 계수
가산(countable)개의 값을 취할 수 있는 확률변수
둘 이상의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분석하는 것
사건 A가 일어날 확률이 p이고 그 여사건이 일어날 확률이 q=1-p인 독립 시행을 n회 반복해서 시행할 때, 사건 A가 일어나는 횟수 X의 이산형 확률분포임
어떤 베르누이 시행의 성공확률이 모두 동일할 경우, 이 시행을 독립적으로 반복 시행할 때 나타나는 성공 횟수
표본의 크기가 증가함으로써 표본통계량의 표준분포가 감소할 때의 통계량
H0가 기각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검정통계량과 비교하는 값
모든 정규분포의 평균 μ를 0으로, 분산 σ2를 1로 표준화시킨 정규분포
모집단이나 표본조사 또는 실험의 관측결과 얻어진 개체의 특성값들
주어진 조건 하에서 자유롭게 변화할 수 있는 점수, 변인의 수 또는 한 변인의 범주의 수
자료의 가장 큰 부분과 작은 부분을 일정 비율 잘라내 버림으로써 계산함
"모집단의 특성을 단일한 값으로 추정하는 방법"
자료의 분포가 평균을 중심으로 대칭인 종모양(bell shape)을 이루는 분포
귀무가설이 실제 옳은데도 불구하고 검정 결과가 그 가설을 기각하는 오류
귀무가설이 실제로는 틀린 데도 불구하고 그것을 옳은 것으로 잘못 받아들이는 오류
어떤 수 x를 제곱하여 a가 되었을 때에, x를 a의 제곱근이라고 함
어떤 사건 B가 일어났을 때 사건 A가 일어날 확률을 의미함
두개 이상의 확률변수들의 결합분포로 부터, 그 중 하나만의 확률변수에 대한 확률을 언급할 때 쓰임
확률변수 제n항까지의 합의 분포가 n → ∞일 때 정규분포에 가까워지는 것을 보이는 정리
사건이 서로 독립적일 때, 일정 시간동안 발생하는 사건의 횟수가 푸아송 분포를 따른다면, 다음 사건이 일어날 때까지 대기 시간은 지수분포를 따름
필요에 따라서는 표본을 개별단위로 추출하지 않고 집단단위로 추출하는 방법
H0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하고 채택하는 검증통계치의 값의 범위
확률 분포에서 그 어떠한 데이터 샘플 혹은 확률 분포에서 거의 모든 값이 평균값에 근접하며 "거의 모든" 과 "근접하는"의 양적 설명을 제공함
먼저 표본구간을 결정한 다음 이 구간을 이용하여 모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크기가 유한한 모집단으로부터 비복원추출시에 나타나는 확률분포임
총표본을 각 계층의 항목 수에다 그 계층의 표준편차를 곱하여 얻은 수에 비례하여 표본을 할당하는 것
모집단의 크기가 커 모집단의 개체 전부를 조사분석하는 것이 불가능할 경우, 표본을 선택해서 표본의 성격인 통계량을 계산한 다음 이를 기초로 하여 모집단의 성격인 모수를 구하는 통계학
특정한 모수를 추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통계량
소비자가 구매시점에 인하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것을 보증하는 증서
X값에 대한 Y의 값이 유일하게 결정되지 않는 관계
수학적, 통계학적으로 불확실한 가운데 어떤 가치와 이에 관련된 결정문제들을 밝혀내어 합리적인 최적의 결정을 내리는 방법에 대한 이론
표본의 성격을 나타내는 통계량을 기초로 하여 모수를 추정하는 통계적 연구 방법
t분포를 사용한 검정의 방식으로, 두개의 정규분포에 따르는 모집단 N(μ1, σ21), N(μ2, σ22)에서 추출된 표본자료로부터, 모평균 μ1, μ2가 같은가 아닌가를 검정하거나, 하나의 정규 모집단에서 추출된 표본 자료로부터 계산되는 표본평균이 모평균에 같은가 아닌가를 검정하는 등에 사용
모집단에서 변수의 가설적인 '진실값'간의 차이
조사자의 편의에 따라 표본구성원을 선정하는 방법
많은 사건 중에서 특정한 사건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적은 확률변수가 갖는 분포
실험이나 관찰에서 생길 수 있는 모든 사상(event)의 모임
𝑛개의 표본 가운데 성공으로 분류되는 표본개체의 비율
표집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로,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집을 선정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오류
"어느 집단의 특성을 알고자 할 때 집단의 일부를 조사함으로써 집단 전체의 특성을 추정하는 방법"
모집단으로부터 뽑힌 표본의 개체수
모집단의 모수를 표본 자료에 근거하여 추정한 값
"평균이 0이고 표준편차가 1인 정규분포"
통계집단의 단위의 계량적 특성값에 관한 산포도를 나타내는 도수특성값
비대칭도를 나타내는 계수로, 산술 평균과 최빈수와의 차를 표준 편차로 나눈 것
조사자가 미리 정한 할당에 따라 표본을 선정하는 것
두 변수 X와 Y에 있어 X값을 알면 Y값을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관계
"사건에 대해서 거기 이르게 되는 전 과정을 한 그루 나무 모양으로 모형화한 것"
연속확률변수가 주어진 어떤 구간 내에 포함될 확률을 확률밀도라고 하며, 이를 함수형태로 나타낸 것
일정한 확률을 가지고 발생하는 사상에 수치가 부여되는 변수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X로 표시ehla
"통계적 조사에서 모집단의 일부만 관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모집단 전체에 대한 결론을 귀납적으로 이끌어내게 되는데 이때 이에 대한 논리적 근거가 되는 이론"
모집단에 속하는 모든 단위가 표본에 추출될 확률이 모두 동일하도록 추출되는 표본
변수와 변수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통계적 분석방법으로 경영 · 경제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기법
도수 분포의 상태를 기둥 모양의 그래프로 나타낸 것